RWA 코인 종류 (대장, 관련, 블랙 록, 순위, 업비트, 빗썸, 리스트)

0
46
RWA 코인 종류 (대장, 관련, 블랙 록, 순위, 업비트, 빗썸, 리스트)

RWA 코인 이란?
RWA(실물 자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화되어 거래되는 물리적 또는 유형적 자산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이러한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분할하여 접근성과 유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실물 자산의 예로는 부동산, 귀금속, 상품, 미술품, 수집품, 지적 재산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들은 주로 분산 원장 기술(DLT)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토큰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토큰화된 자산은 실물 자산의 가치와 직접 연계되어 거래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국채, 채권, 주식 등 현실 세계의 자산을 토큰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RWA는 기존 실물 자산 시장의 낮은 유동성과 높은 진입 장벽 등의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RWA 코인 종류 (대장, 관련, 블랙 록, 순위, 업비트, 빗썸, 리스트)를 알아보겠습니다.

RWA 대장 코인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3월 20일(현지시각) RWA(실물 자산) 토큰화 펀드 ‘비들(BUIDL)‘을 출시하면서 RWA 관련 가상 자산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온도파이낸스(ONDO) 코인은 ‘RWA 대장’으로 불리는 코인입니다.

온도파이낸스(ONDO) 란?

RWA 대장 코인 온도파이낸스(ONDO)

온도 파이낸스는 국채, 채권, 주식과 같은 현실 세계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하는 실물 연계 자산(RWA, Real World Asset) 프로젝트로, 전 세계 투자자들이 블록체인 인프라를 통해 기관용 금융 상품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일반 투자자들의 금융 상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 채권, 펀드 등의 상품을 토큰화하는 플랫폼(프로토콜)과 토큰화된 상품을 파생 및 대출할 수 있는 디파이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주요 상품으로는 토큰화된 미국 국채 펀드(OUSG), 토큰화된 미국 머니마켓 펀드(OOMF), 토큰화된 미국 달러 표시 수익 어음(USDY)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온도 파이낸스의 RWA로 토큰화된 형태의 미국 자산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온도 파이낸스는 RWA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토큰화된 미국 국채(OUSG 및 USDY)와 Ondo DAO가 관리하는 온체인 국채 대출 시장인 Flux Finance에서 2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온도 파이낸스는 블랙록, JP 모건 등과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파운더스 펀드, 판테라 캐피탈, 코인베이스 벤처스 등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블랙록x 온도파이낸스(ONDO)

RWA 코인 순위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시가 총액 순으로 나열한 TOP10 코인 리스트 입니다.

  1. 아발란체(AVAX)
  2. 체인링크(LINK)
  3. 인터넷 컴퓨터(ICP)
  4. 비체인(VET)
  5. 마커(MKR)
  6. 온도(ONDO)
  7. 퀀트(QNT)
  8. 신세스틱(SNX)
  9. 만트라(OM)
  10. XDC 네트워크(XDC)

RWA 코인 국내 리스트(업비트,빗썸)

업비트와 빗썸 모두 8개의 RWA 코인을 상장되어 있는데 그 중 업비트에는 폴리매쉬(POLYX)가 상장 되어 있고 빗썸에는 비너스(XVS)가 따로 상장 되어 있습니다.

업비트빗썸
코인명마켓코인명마켓
아발란체(AVAX)원화/BTC아발란체(AVAX)원화
체인링크(LINK)원화/BTC체인링크(LINK)원화
메이커(MKR)BTC메이커(MKR)원화
신세스틱(SNX)BTC신세스틱(SNX)원화
폴리매쉬(POLYX)원화/BTC리저브라이트(RSR)원화
리저브라이트(RSR)BTC크레딧코인(CTC)원화
크레딧코인(CTC)원화/BTC크로미아(CHR)원화
크로미아(CHR)BTC비너스(XVS)원화
업비트,빗썸 RWA 코인 상장 차트

RWA 코인 블랙록 관련 내용 정리

RWA 코인 블랙록 관련 내용 정리

블랙록(BlackRock)은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의 자산 운용 회사입니다.

블랙록은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이더리움에 투자하는 현물 ETF 출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블랙록은 ‘비들(BUIDL)’이라는 이름의 토큰화 펀드를 공개했습니다. 이 펀드의 공식 명칭은 블랙록 USD 기관 디지털 유동성 펀드(BlackRock USD Institutional Digital Liquidity Fund)로, 흔히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비들(BUIDL)’이라고 부릅니다.

RWA는 디지털 토큰 형태로 구현된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하면, 블랙록이 왜 RWA 시장에 관심을 가지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ETF는 블랙록의 주력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비들(BUIDL)이란?

비들(BUIDL)’은 미국 국채, 환매조건부채권, 현금 등에 투자하는 토큰화된 펀드입니다.
토큰당 1달러의 가치를 유지하며, 매달 배당금을 토큰 형태로 지급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렇게 모인 토큰은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인 USDC로 전환하여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ETF와 비교하자면, ETF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거래소에서만 거래할 수 있습니다. 
반면, RWA는 월렛만 있으면 언제든지 거래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국가 경계를 넘어 전 세계 누구에게나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비들은 블랙록이 선보인 RWA라는 점이 또 하나의 매력 포인트입니다. 월스트리트의 큰손으로 잘 알려진 블랙록이 만든 디지털 토큰이기 때문에, 신뢰도 면에서 다른 RWA를 압도합니다. RWA의 매력을 알아보고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최적의 선택지라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투자 종목으로 주목받는 RWA

국채 토큰 시장이 가장 먼저 움직이기 시작했지만, RWA 시장 자체도 서서히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RWA 시장에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많아 사업 확장을 노리는 금융기관들에 매우 매력적입니다.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인 래리 핑크는 “금융시장과 증권의 다음 세대는 자산의 토큰화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RWA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알아본 플레이어가 증가할수록 자금이 더 많이 유입되며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블랙록 외에도 이 시장에 관심을 보이는 큰손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JP모간 체이스로 이 회사는 블랙록과 마찬가지로 가상자산 관련 사업에 적극적입니다. JP모간 체이스는 지난해 미국 국채나 머니마켓펀드(MMF)와 같은 수조 달러 규모의 자산을 토큰 화하여 디파이 풀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11월에는 첫 RWA 거래를 실행하기도 했습니다.


함께 보기 좋은 포스트 추천 빗썸 AI 코인 총 정리

글쓴이